해외직구 및 역직구 이해
1) 해외직구 및 역직구 개념
해외직구와 역직구는 글로벌 전자상거래에서 각각 '수입' 및 '수출'에 대응합니다. 이는 무역 중 국경을 넘나드는 전자상거래를 포함하는 거래를 부르는 용어이며 정부에서는 같은 대상을 소관 부처의 특징과 이력에 따라 다소 다르게 호칭하고 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무역, '전자상거래', 전자무역' 등으로 혼용하여 사용하다가, 최근에는 '전자상거래 무역'이라는 용어로 수렴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세청에서는 '해외직구'와 '역직구'라는 용어 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해외역직구 및 해외직구의 영문명칭으로는 Global Electronic Commerce, Global Electronic Trading, Cross Border Electronic Commerce, International Electronic Commerce 등의 용어가 혼용되고 있으며, 대부분이 글로벌 전자상거래 무역이라는 같은 대상을 칭하고 있습니다.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해외직구와 역직구 개념은 경제 프로세스의 디지털화라는 변화에 힘입어 정보통신산업 자체뿐만 아니라 경제활동의 전 분야를 망라하는 종합적인 추세가 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따라서 B2B, B2C 등의 거래관계에 속한 기업들은 인터넷 상거래, 디지털 농업, 스마트 네트워크 시스템, 무인 운송, 개인 맞춤형 의료 등 어떠한 방향으로 사업전략을 고려하든 디지털 혁명의 영 향력을 무시할 수 없을 것입니다.
2) 해외직구 및 역직구의 규모
해외직구 및 역직구 시장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합리적 소비문화의 확산, 그리고 소비패턴의 변화 바람을 타고 하나의 단일시장이 되면서 그 규모도 급속하게 확대되었습니다.
글로벌 시장의 빠른 성장과 함께 우리나라 해외직구 시장규모는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연평균 53.6% 성장하였다.
또한, 역직구 시장규모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65.4%의 높은 성장률을 보여왔으나 중국을 비롯한 해외국가들의 대외적인 정치, 경제적 상황의 변화로 2021년도에는 2020년도에 비해 27% 감소하기도 하였습니다.
우리나라의 국가별 해외직구 및 역직구 실적은 2021년도 기준 미국이 2조 707억 원으로 가장 많은 해외직구 규모가 나타났으며 중국이 3조 5,876억 원으로 가장 많은 역직구 규모가 나타났습니다.
해외직구 규모의 추이는 2019년부터 2021년까지 대부분 국가에서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해외 역직구의 규모는 2020년까지 상승세를 보여왔으나 2021년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는 데 이는 우리나라 해외 역직구 규모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중국에서의 역직구 규모가 급감하였기 때문입니다.
해외직구 및 역직구의 비즈니스 모델
1) 해외직구 및 역직구의 비즈니스 기본 형태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기술과 디지털화가 비즈니스 및 소비패턴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COVID 19 펜데믹 또한 최종 소비자들의 해외직구 모델에 영향을 미쳐 새로운 형태로 발전하고 있는 현실입니다.
또한, 비즈니스 모델은 여러 환경과 형태의 차이로 인하여 국내의 전자상거래와 비교하여 다소 복잡하고 불특정한 이해관계가 관여됩니다.
보통의 전자상거래와는 달리, 해외직구 및 역직구는 소비자와 판매자가 국적을 달리하는 동시에, 오픈마켓 형태의 온라인 쇼핑몰과 입점 기업이 말단의 두 주체인 소비자와 판매자 사이에서 전자상거래의 주체로 등장하는 구조입니다.
이 때 기업들은 수직 적 혹은 수평적 통합을 통해 산업 및 조직에 대한 광범위한 목표를 설정할 수 있는데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위한 제품 재료, 웹 사이트 콘텐츠, 특정한 이메일 뉴스 등의 글자를 상단에 노출하여 홍보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공급체인관리 관점에서 해외직구 및 역직구
해외직구 및 역직구는 글로벌 공급체인관리 관점에서 전반적으로 다음의 5단계 프로세스를 도출합니다.
첫 번째는 마케팅입니다. 제품과 서비스를 홍보하여 구매기업을 유도하고 상품을 등록하며 관리합니다.
두 번째는 상품을 소싱하고 구매하여, 상품 공급체인을 관리하고 공급자를 관리합니다.
세 번째는 상품 거래계약과 함께 대금결제를 합니다.
네 번째는 물류 및 배송이 이루어지고 그 과정에서 통관절차가 행해집니다. 창고관리도 중요한 업무로 다루어집니다.
마지막은 서비스 및 사후관리로서 고객만족을 위한 불만사항을 관리하고 반품관리를 합니다.
(1) 해외직구의 비즈니스 모델
해외직구(수입) 모델은 첫째, 해외 글로벌 온라인 쇼핑몰 직구 모델, 둘째, 구매대행 모델, 셋째, 물류대행 모델(배송대행지활용)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구매자 또는 구매기업은 직구 형태에 따라 직접 구매 및 수입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되거나 다양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됩니다.
따라서 구매자 또는 구매기업은 관세, 부가세 등의 추가 비용, 배송 시간, 정품 여부 등을 고려하여 해외직구 업체의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2) 해외 역직구의 비즈니스 모델
해외 역직구(수출) 모델은 첫째, 국내 오픈마켓 입점 모델, 둘째, 국내 독립몰 운영 모델, 셋째, 해외 글로벌 온라인 쇼핑몰 입점 모델, 넷째, 해외 직판 쇼핑몰 운영 모델, 다섯째, 해외 보세구역 모델 등으 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해외 역직구의 비즈니스 모델에 따라 제품 판매방식과 수익 창출 모델이 달라지므로 기업의 특징과 목표를 연계하여 결정하여야 합니다.
'OVERALL'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정무역의 의미와 특징 (0) | 2024.05.31 |
---|---|
블록체인 무역결제 방법 및 효과 (0) | 2024.05.30 |
국제무역의 이론과 현실 (0) | 2024.05.28 |
4차 산업혁명과 글로벌 창업의 기능 (0) | 2024.05.27 |
4차 산업혁명 후 글로벌시대의 전자무역 (1) | 2024.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