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ALL33 관세법의 의미와 특징 무역거래에 있어 필수적인 관세법에 대해 학습해보겠습니다. 관세법의 성격과 원칙 1. 관세법의 목적과 성격 1) 관세법의 목적 관세법 제1조에 따르면, 관세법은 관세의 부과, 징수 및 수출입 물품의 통관을 적정하게 하고 관세 수입을 확보함으로써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즉, 관세법은 관세의 부과, 징수 및 수출입 물품의 통관 적정성을 확보하는 수단으로 관세수입을 확보하여 궁극적으로 국민경제 발전 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2) 관세법의 성격 관세법은 행정법적 성격, 조세법적 성격, 동관법적 성격, 형사법적 성격, 실체법 및 절차법적 성격, 국제거래법적 성격 등 6개의 성격을 갖고 있습니다. (1) 행정법적 성격 행정법은 행정을 대상으로 하는 법을 말하는데 관세법의 대상이 관세행.. 2024. 7. 5. 신용장 거래의 특성 원칙 및 거래 순서 신용장 결제 방식의 특성과 거래 과정에 대해 학습해보겠습니다.신용장 거래 (Letter of Credit; LC) 의 주요 특성 ① 독립성의 원칙(Independence principle of the credit) : 신용장은 국제매매계약에 의해 개설 또는 발행되지만 신용장이 일단 발행되면 매매계약내용과 상관없이 별개의 법률관계가 형성됩니다. 예를 들어 매매계약과 다른 물품과 수량이 선적되었다고 하더라도 수익자가 제시한 서류가 신용 장과 일치하면 대금지급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② 추상성의 원칙(Abostraction principle of the credit) : 수익자가 인도한 물품이 매매계약과 일치하는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은행은 신용장에서 요구하는 서류만을 가지고 대금지급여부를 판단한다는.. 2024. 6. 30. 무역계약의 의의와 성립과정 및 조건 무역계약의 의의 무역계약이란 국가 간의 국제 상거래에서 나타나는 매매계약으로 대부분의 물품매매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무역계약은 일반적으로 협의의 국제물품매매계약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최근 국제 상거래의 양상이 물품매매 뿐만 아니라 기술 및 각종 서비스와 해외 건설, 플랜트 등으로 다양화되며 무역계약은 광의적으로 대리점계약, 차관계약, 국제라이센싱계약, 해외건설공사계약 등에도 적용되고 있습니다. 이 때 매매 당사자들은 무역 계약 규칙을 설정하여 불필요한 분쟁을 사전에 방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국제 간 계약이 수반되는 무역거래는 언어나 사고방식, 법률체제 및 상관습을 달리하는 서로 다른 국가의 당사자 간의 거래이기 때문에 사전에 상대방에 대한 신용상태를 파악하여야 하고 거래에 준용될 법규나 관습을 명.. 2024. 6. 28. HS 코드 개념 및 분류 방법 HS 코드 개념 HS(Harmonized System) 코드는 무역 상품을 분류하는 데 사용되는 국제 분류 시스템입니다. 세계 관세 기구(WCO)가 개발하고 유지 관리하는 표준화된 시스템으로, 전 세계 관세 당국이 관세, 무역 통계 및 기타 규제 조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HS 코드의 특징 1. 분류 HS 코드는 제품의 구성, 기능, 제조 공정 등 제품의 특성을 나타내는 일련의 숫자로 구성됩니다. 각 숫자는 특정 수준의 분류에 해당하며, 처음의 두 자리 또는 네 자리는 더 넓은 범주를 나타내고 이후의 숫자는 더 자세한 분류를 제공합니다. 2. 글로벌 표준화 HS 코드는 세계적인 표준 코드로, 여러 국가에 걸쳐 제품을 분류할 때 일관성과 통일성을 보장합니다. 이것은 세관, 기업 및 기타 이해 관계자에.. 2024. 6. 21. 이전 1 2 3 4 5 6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