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직접투자의 개념
해외직접투자(foreign direct investment : FDI)는 해외에서 경영지배 또는 경영 통제권을 행사함으로써 직접 사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투자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해외직접투자는 투자기업이 유형의 경영자원인 자본뿐 아니라 무형의 경영자원인 기술• 특허• 상표권 • 경영기법•마케팅 노하우 등 기업의 제반 자원 을 해외로 이전시켜 사업을 하는 형태라고 할 수 있다.
해외직접투자의 개념에 대하여 루트(F. Root)는 경영통제권을 갖는 해외기업 에 대한 장기 지분투자(long term equity investment with management control) 라 고 정의하였다.
따라서 경영통제권을 주목적으로 하는 자본 이동으로서 투자기업이 현지기업을 직접 지배 • 경영하는 경우에는 해외직접투자이고 투자기업이 경영통제권을 행사하지 않으면 국제간접투자라고 할 수 있다.
즉, 국제간접투자 는 경영지배나 통제의 목적이 아닌 배당이나 이자수익을 위해 외국기업의 주식이나 채권을 취득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경우 자본만이 이동하게 된다.
해외시장진출전략 중에서 중요한 몫을 차지하고 있는 해외직접투자는 수출의 상대개념으로도 파악되고 있다.
즉, 수출이 국내의 생산요소들을 결합하여 제품의 형태로 해외로 이전시키는 방법이라면, 해외직접투자는 국내의 자본• 생산기 술• 경영기법 등의 생산요소를 해외로 이전하여 당해국의 노동과 토지 등에 결 합하여 생산 및 판매를 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양자는 구별된다.
해외직접투자의 성격을 국제간접투자와 비교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투자동기면에서 단순히 이자나 배당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국제간점투자에 비해, 해외직접투자는 직접적인 경영통제권을 통해 투자기업의 궁극적 목적 을 달성하는데 뜻을 두고 있다.
둘째, 해외직접투자는 국제간접투자와는 달리 반드시 자본의 이동을 수반하는 것은 아니며 기술• 특허• 상표권과 같은 무형자산 또는 기계 • 설비 등의 실물 자산에 의한 투자로도 이루어진다.
또한 자본조성에 있어서도 현지금융시장에서 자금을 차입하여 투자가 가능하므로 해외직접투자는 국제적인 자본이동이라기 보다는 해외의 생산시설 등에 자본을 투하할 수 있는 투자기업의 자본조달능력에 달려있는 경우도 많다.
셋째, 국제간접투자가 단순한 자본의 이동인데 반해, 해외직접투자는 기업의 국제적 확대이다. 즉, 해외직접투자는 기업성장론적 관점에서 보면 일국의 기업 이 국내지향적 경영에서 세계지향적 경영으로 발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론구성의 요건과 전제
기업이 왜 해외직접투자를 하는가를 설명하는 이론이 갖추어야 할 요건이나 주제를 보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3가지를 충족시켜야 한다.
첫째, 기업은 왜 해외직접투자를 하는가?
즉, 투자기업이 현지기업과 비교하여 갖게 되는 여러 가지 불리한 현지국의 외국비용(현지기업에 유리한 제도들, 사회적 관습, 소비자 기호, 차별대우, 현지사정에 대한 지식부족 등)에도 불구하고 왜 해외직접투자를 하는가 하는 것을 이론이 밝혀야 한다. 이는 곧 현지기업과의 경 쟁에서 이길 수 있는 기업 특유의 우위요소가 무엇인가(What is the firm specific advantage?)를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기업 특유의 우위요소는 무역이론에서 국제무역의 발생원인을 밝히고 있는 비교우위요소와 성격이 다르다.
비교우위요소는 국가 특유의 우위요소(country-specific advantage)인 반면 기업 특유의 우위요소는 해외직접투자를 가능하게 하는 특정 기업이 가지고 있는 우위요소이다.
둘째, 수출이나 라이센싱 등 다른 사업형태도 많은데 왜 위험부담도 높고 자원투입이 많은 해외직접투자를 택하는가?
셋째, 해외직접투자가 일어나는 생산입지상의 조건은 무엇인가?
즉, 이 문제는 어떤 나라, 어떤 산업에서 어떤 기업이 투자활동을 주도하는가 하는 현지국 선정문제에 초점이 맞추어진다.
이상의 세 가지 문제에 답할 수 있다면 해외직접투자를 설명하는 일반이론이 라고 할 수 있으나, 이제까지 개발된 어떠한 이론도 이 세 가지를 충분히 설명 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 밖에도 해외직접투자이론이 갖추어야 할 또 하나의 요건은 규범적인 측면 이다.
즉, 해외직접투자의 이유, 효과 등을 이론적으로 검토하는 데는 사실상 실증적 분석이 매우 어려우므로 오히려 규범적인 가치판단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우리가 해외직접투자를 연구하는 목적도 해외직접투자 현상을 규명하고 그에 대한 명확한 지식을 얻는 것 외에 해외직접투자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동기도 큰 비중을 차지하므로 해외직접투자에 대한 규범적 이론의 확립도 필요하다고 하겠다. 다음 글에서 그 중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해외직접 투자 이론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고자 한다.